티스토리 뷰
사람의 몸은 위기 상황에서도 놀라울 만큼 빠르게 적응한다. 이처럼 환경 변화에 즉각 반응하고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는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코르티솔’이라는 호르몬 덕분이다.
코르티솔은 당질코르티코이드 계열의 대표 호르몬으로 에너지 대사, 면역 반응, 스트레스 조절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 호르몬이 너무 부족하거나 과도하게 많아지면 오히려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이 발생한다. 오늘은 코르티솔의 정상 생리 작용과 그 이상이 생겼을 때 신체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구조적으로 정리해 보겠다.

1. 코르티솔이란 무엇인가?
코르티솔은 부신피질의 속상대(zona fasciculata)에서 생성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이다. 이 호르몬은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HPA axis) 축에 의해 조절되며, 그 분비량은 신체의 생리적 상태에 따라 민감하게 변한다.
▶ 조절 경로 요약
1. 시상하부 → CRH (Corticotropin-Releasing Hormone) 분비
2. 뇌하수체 전엽 → ACTH 분비
3. 부신피질 → 코르티솔 분비
이 경로는 음성되먹임(negative feedback) 구조로 작동해, 혈중 코르티솔이 증가하면 CRH와 ACTH 분비가 억제된다.
2. 코르티솔의 주요 생리 작용
코르티솔은 단순히 ‘스트레스 호르몬’으로만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에너지 대사, 면역 반응, 염증 억제, 심혈관 안정화 등 광범위한 생리 기능을 조절한다.
구분 작용 내용
- 탄수화물 대사 포도당 신생합성 증가 (간), 말초 조직의 포도당 이용 억제 → 혈당 상승
- 단백질 대사 근육, 피부 등 말초 조직에서 단백질 분해 → 아미노산 방출
- 지방 대사 지방세포에서 지방 분해 → 유리지방산 증가 면역 억제 백혈구 이동 억제, 염증반응 저하 → 항염 효과
- 뼈 대사 억제 칼슘 흡수 감소, 조골세포 기능 저하 → 골다공증 유발 가능
- 중추신경계 스트레스 반응 조절, 각성 수준 유지, 기분 변화에 관여
또한 코르티솔은 일중 리듬(circadian rhythm)에 따라 아침에 분비량이 가장 높고, 밤에 감소하는 특징이 있다.
⸻
3. 코르티솔 과잉 시 나타나는 변화
코르티솔이 만성적으로 과도하게 분비되면 쿠싱증후군이 발생한다. 이는 외인성 스테로이드 약물의 장기 사용이나, ACTH 분비 종양 등으로 인해 생길 수 있다.
▶ 주요 증상 정리
• 중심성 비만 (복부, 얼굴, 목 부위에 지방 축적)
• 피부 얇아짐, 멍, 보라색 선조 (striae)
• 근육 위축 → 팔다리가 가늘어짐
• 혈당 상승 → 당뇨 유발 가능
• 면역 기능 억제 → 감염 위험 증가
• 골다공증 → 척추 압박 골절 위험
• 여성: 다모증, 여드름, 생리 불순
💡 장기간 스테로이드를 복용 중인 환자는 혈압·혈당·골밀도 정기 검사가 권장된다.
⸻
4. 코르티솔 결핍 시 나타나는 변화
반대로 코르티솔이 부족하면 애디슨병(부신기능저하증)이 발생한다. 이 경우, 인체는 스트레스에 전혀 대응하지 못하게 되며 생명을 위협하는 ‘급성 부신위기(adrenal crisis)’로 이어질 수 있다.
▶ 주요 증상 정리
• 저혈당
• 저혈압
• 피로감, 체중 감소
• 탈수
• 피부 색소 침착 (ACTH 증가에 따른 MSH 자극)
• 전해질 이상 (알도스테론 동반 결핍 시)
5. 코르티솔 균형이 왜 중요한가?
코르티솔은 그 자체로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생존 호르몬”이다.
이 호르몬의 농도가 너무 적으면 에너지 공급 자체가 붕괴되고, 너무 많으면 오히려 면역 기능과 대사계가 무너진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이유로 코르티솔 균형 유지는 내분비계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다:
• 당 대사 유지
• 면역 과잉 억제
• 염증 조절
• 심혈관 안정성 확보
•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생존 능력 유지
코르티솔은 단순한 스트레스 호르몬이 아니다.
에너지 공급, 면역 조절, 생리적 리듬 유지에 이르기까지 그 작용 범위는 인체 전반에 걸쳐 있다.
하지만 이 호르몬의 균형이 깨지면 애디슨병, 쿠싱증후군 같은 심각한 내분비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코르티솔 분비 조절 메커니즘과 그 병리적 변화에 대한 이해는 질병 예방과 건강 관리의 핵심이 된다.
'생리활성 및 영양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반체에 의한 재흡수, 삼투압 이뇨, 세뇨관 분비 (1) | 2025.06.14 |
---|---|
사구체 여과와 세뇨관 재흡수 (1) | 2025.06.14 |
신장의 구조와 요 형성 과정 (4) | 2025.06.13 |
대장의 생리적 기능과 인체 흡수 작용의 종합적 이해 (1) | 2025.06.13 |
소장, 췌장, 간에서 분비되는 소화액의 구조와 생리적 역할 (0) | 2025.06.12 |
소화액의 분비와 작용 방법 (1) | 2025.06.12 |
대장의 운동과 간의 구조 및 기능 (1) | 2025.06.11 |
소화기계의 구조와 운동: 인체 내 소화의 정교한 메커니즘 (0) | 2025.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