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y. 73 의류 수선으로 완성하는 지속가능 패션 루틴제로웨이스트 실천 2025. 11. 15. 09:16

버려진 옷장, 다시 입는 용기가 되다
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한 지 두 달이 넘어가면서,
나는 점점 ‘물건을 버리지 않는 습관’에 익숙해지고 있었다.
하지만 옷장만큼은 여전히 나의 약점이었다.계절이 바뀔 때마다 정리한다며 옷을 꺼내면,
“이건 이제 안 입을 것 같아.”
“유행이 지났네.”
그렇게 나온 옷더미가 봉투 몇 개는 기본이었다.
분리수거함에 옷을 넣으며 “이건 재활용되겠지?”라고 스스로를 위로했지만,
실상 대부분의 옷은 소각되거나 해외 폐의류로 수출돼 버려진다.그래서 이번 73일 차에는 결심했다.
“옷을 버리지 않고, 다시 입는 루틴을 만들자.”
이 글은 단순히 ‘옷을 고치는 기술’이 아니라,
패션을 바라보는 의식의 변화 과정에 대한 이야기다.
옷장 속 잊힌 옷들을 ‘다시 보기’
의류 수선의 시작은 ‘바느질’이 아니라 관찰이었다.
옷장을 열어보니,
소매가 늘어난 니트, 단추가 떨어진 셔츠, 물든 바지 등
조금만 손보면 입을 수 있는 옷이 많았다.그래서 나는 수선 전 이렇게 구분했다.
구분 상태 조치 방법
A 부분 수선 가능 단추, 밑단, 올풀림 보수 B 리폼 가능 기장 수정, 염색, 패치 C 재활용 가능 가방, 행주, 리폼용 천으로 활용 이 과정을 거치자,
‘버려야 할 옷’은 거의 없다는 걸 깨달았다.
대부분의 옷은 시간과 정성만 투자하면 다시 입을 수 있었다.내가 직접 한 수선 사례
소매가 늘어난 니트 → 반팔 베스트 리폼
- 팔 부분을 잘라내고, 끝단을 말아 고정.
- 봄·가을용 베스트로 재탄생.
단추가 빠진 셔츠 → 비대칭 단추 리폼 셔츠
- 일부러 다른 색 단추를 사용해 포인트로 살림.
- ‘수선’이 아니라 ‘디자인 변화’로 인식되었다.
무릎이 해진 청바지 → 앞치마로 리폼
- 청바지 허벅지 부분을 잘라 앞치마 형태로 만들고,
허리끈을 덧대 주방에서 사용 중.
작은 수선이지만, 옷 한 벌이 다시 살아나는 경험은 묘한 뿌듯함을 줬다.
그건 단순히 ‘낡은 옷의 복구’가 아니라,
‘나의 가치관을 되살리는 과정’이었다.
수선 루틴 만들기 – ‘버림’ 대신 ‘복원’의 시스템화
옷 수선은 한 번의 이벤트로 끝나면 오래가지 않는다.
그래서 나는 일상 속에 ‘의류 복원 루틴’을 시스템화했다.실천 루틴
월 1회 옷장 점검일 지정
- 매달 마지막 주 토요일, 옷장을 점검하고
손상된 옷을 한데 모은다. - 봉투에 ‘수선 예정’, ‘리폼 예정’, ‘기부 예정’ 세 가지로 분류.
집에서 가능한 수선은 직접, 어려운 건 지역 수선소 의뢰
- 바느질이 간단한 것은 직접 하고,
어려운 부분은 단골 수선소에 맡겨 ‘수선 문화’에 돈을 쓰기로 했다. - 이 과정에서 지역 경제도 함께 순환된다는 걸 느꼈다.
‘다시 입는 주간’ 운영
- 새 옷 구매를 멈추고,
리폼하거나 수선한 옷만 입는 일주일을 정했다. - 생각보다 불편하지 않았고, 오히려 ‘창의적 패션’이 가능했다.
이 루틴이 정착되자,
내 옷장 속 의류 폐기량은 70% 이상 감소했다.
그리고 놀랍게도, 새 옷 쇼핑 욕구도 현저히 줄었다.
‘입을 옷이 없어서 사는 게 아니라, 마음이 비워지지 않아서 샀던 것’이었다.
수선을 넘어, 지속가능 패션으로
의류 수선을 계속하다 보니,
이건 단순한 ‘개인 실천’이 아니라 패션 문화의 변화라는 걸 실감했다.패션 산업은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10%를 차지한다.
옷 한 벌을 새로 만드는 데 필요한 물의 양은
500리터에서 많게는 2000리터까지 이른다.
그런데 이미 내가 가지고 있는 옷을 고쳐 입는다면,
이 모든 낭비를 단번에 막을 수 있다.그래서 나는 주변 사람들에게도 제안했다.
“버릴 옷을 그냥 주지 말고, 함께 고쳐보자.”
친구들과 ‘의류 리폼 워크숍’을 열어,
바느질 실수도 웃으며 배우는 시간을 가졌다.이 작은 실천이 주는 파급력은 의외로 컸다.
“나도 해봐야겠다.”
“이 옷이 다시 살아났네!”
그 한마디들이 모여, 제로웨이스트의 확산을 이끌었다.
옷 한 벌을 고치는 일은 나를 고치는 일
의류 수선은 결국 ‘자기 회복의 과정’이었다.
버리고 새로 사던 습관 대신,
고쳐서 다시 입는 삶은 나에게 ‘시간의 존중’을 가르쳐줬다.이제 내 옷장에는 유행보다 오래된 정성이 자리한다.
한 땀 한 땀 꿰매며 다시 태어난 옷들은
내게 ‘소유’가 아닌 ‘관계’로 남는다.“지속가능한 패션은 브랜드가 만드는 게 아니라,
옷 한 벌을 아끼는 마음에서 시작된다.”옷장을 비우는 대신, 의미를 채워 넣는 일.
그게 바로, 내가 73일 차에 깨달은 제로웨이스트 패션의 진짜 본질이었다.'제로웨이스트 실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74 의류 교환 파티 ‘스와핑’으로 만드는 패션의 순환 (0) 2025.11.16 Day.72 제로웨이스트 키친 리폼 – 버려지는 주방도구의 두 번째 생명 만들기 (0) 2025.11.14 Day.71 중고 거래 제로웨이스트 전략 – 나누고 버리지 않는 순환 소비의 기술 (0) 2025.11.13 Day.70 옷장 제로웨이스트 – 불필요한 옷을 순환시키는 미니멀 패션 루틴 (0) 2025.11.12 Day.69 제로웨이스트 여행 준비법 – 이동 중에도 쓰레기 없는 하루 만들기 (0) 2025.11.11 Day.68 재활용품 분리배출 정확히 하기 – 헷갈리는 분리 기준 완전 정리편 (0) 2025.11.09 Day.67 냉장고 속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루틴 만들기 (0) 2025.11.08 Day.66 다회용 쇼핑백 관리법 – 장보기 후에도 계속 쓰는 방법 (0) 2025.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