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y.30 제로웨이스트 실천 고급편 - 플라스틱 재질코드(♳~♹) 구분 가이드: 재활용 정확도 90% 올리는 기준표제로웨이스트 실천 2025. 9. 21. 17:20
제로웨이스트 실천을 위한 플라스틱 재질코드 구분 가이드로 재활용 정확도 높이기
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하다 보면 분리배출 과정에서 가장 많이 헷갈리는 것이 바로 플라스틱 재질코드다.
♳부터 ♹까지 표시된 삼각형 속 숫자는 단순한 기호가 아니라,
해당 플라스틱이 어떤 성질을 갖고 있는지, 재활용이 가능한지 알려주는 중요한 단서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이 재질코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모든 플라스틱을 한데 모아 버리거나, 잘못된 방법으로 분리배출을 한다.
그 결과 재활용률은 낮아지고, 오히려 쓰레기로 소각되거나 매립되는 경우가 많다.
이 글은 플라스틱 재질코드 판독 가이드로, ♳~♹ 각각의 의미를 쉽게 풀어 설명하고,
재활용 정확도를 90% 이상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기준표를 제공한다.
올바른 분리배출은 단순한 습관이 아니라, 환경 보호를 위한 지식의 시작이다.
플라스틱 재질코드의 의미와 구분
플라스틱 제품을 뒤집어보면 삼각형 모양 안에 숫자와 영문 코드가 표시되어 있다.
이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플라스틱 재질코드로, 크게 일곱 가지로 구분된다.- ♳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 생수병, 음료병에 주로 사용. 재활용 용이.
- ♴ HDPE (High-Density Polyethylene) → 우유병, 세제통, 샴푸 용기. 재활용 가능.
- ♵ PVC (Polyvinyl Chloride) → 배관, 포장필름. 재활용 어려움.
- ♶ LDPE (Low-Density Polyethylene) → 비닐봉지, 랩. 일부만 재활용 가능.
- ♷ PP (Polypropylene) → 빨대, 아이스크림 통, 주방용기. 재활용 가능.
- ♸ PS (Polystyrene) → 컵라면 용기, 일회용 식기. 재활용 거의 불가.
- ♹ Other (기타) → PC, ABS 등 혼합 플라스틱. 재활용 매우 어려움.
이 중 ♳, ♴, ♷은 비교적 재활용이 잘 되지만, ♵, ♶, ♸, ♹은 재활용 효율이 낮다.
따라서 가정에서 분리배출할 때는 재질코드 확인 → 세척 → 분류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플라스틱 재질코드 판독 가이드: 분리배출 체크리스트
플라스틱 재질코드를 이해했더라도, 실제로 어떻게 분리해야 할지는 여전히 헷갈린다.
그래서 나는 다음과 같은 분리배출 SOP 체크리스트를 만들었다.- ♳ PET – 뚜껑·라벨 제거, 내용물 세척 후 압축 배출
- ♴ HDPE – 세제 잔여물 완전히 세척, 뚜껑 분리
- ♵ PVC – 배출하지 말고 최대한 사용량 줄이기
- ♶ LDPE – 깨끗한 비닐만 재활용, 음식물 묻은 비닐은 일반쓰레기
- ♷ PP – 뚜껑·라벨 제거 후 세척, 투명 제품 우선 재활용
- ♸ PS – 컵라면 용기, 일회용 식기는 일반쓰레기 처리
- ♹ Other – 재활용 불가, 최소한으로 사용
특히 ♵, ♸, ♹은 ‘분리배출’이라는 이름으로 배출해도 실제로는 대부분 소각된다.
따라서 가능한 한 사용 자체를 줄이고, 대체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재활용 정확도 90% 올리는 생활 습관
플라스틱 재질코드를 올바르게 판독했다고 해도, 세척과 분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재활용은 무의미하다.
재활용 정확도를 90% 이상 끌어올리기 위해 내가 실천하고 있는 습관은 다음과 같다.- 분리 전 반드시 세척 – 음식물 찌꺼기가 남으면 오염물로 처리됨
- 라벨·뚜껑 제거 습관화 – 서로 다른 재질이 섞이면 재활용 불가
- 투명 PET 우선 사용 – 재활용 효율이 높은 제품을 소비 단계에서 선택
- 재활용 불가 품목 최소화 – PVC, PS, 기타 플라스틱은 대체품 사용
- 재질코드별 전용 분리함 운영 – 주방·현관에 구분된 통 마련
특히 투명 PET 병은 실제 재활용이 잘 되므로, 음료를 고를 때 색병이 아닌 투명병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이처럼 소비 단계에서부터 올바른 선택을 하는 것이 분리배출의 성공 여부를 좌우한다.
플라스틱 재질코드 판독은 생활 지식이자 환경 실천
플라스틱 재질코드 판독 가이드는 단순히 분리배출 요령을 넘어,
환경을 지키는 데 필요한 기본 지식이다.
♳~♹ 코드의 의미를 이해하면 불필요한 혼란을 줄일 수 있고,
재활용률을 실제로 끌어올릴 수 있다.재활용은 거창한 일이 아니다.
제품을 고를 때, 분리할 때, 세척할 때 조금만 더 신경 쓰면 된다.
이제 당신도 플라스틱 제품을 집어들 때, 그 안에 숨겨진 작은 숫자와 기호를 확인해 보자.
그 작은 습관이 쌓여 지구의 쓰레기를 줄이고, 지속가능한 생활을 가능하게 만든다.'제로웨이스트 실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29 제로웨이스트 실천을 위한 포장 최소화 대화 스크립트: 상인·직원에게 정중히 요청하는 멘트 모음 (0) 2025.09.21 Day.28 일회용품 대체 로드맵 30일: 하루 1습관 바꾸기 캘린더 (0) 2025.09.21 Day.27 제로웨이스트 실천 가정 SOP(표준운영절차): 주방·욕실·현관 체크리스트 총정리 (0) 2025.09.21 Day.26 제로웨이스트 실천한 지 1년, 삶이 어떻게 달라졌나 (1) 2025.08.21 Day.25 제로웨이스트 실천 직장 생활 – 회사에서 쓰레기 줄이는 법 (0) 2025.08.20 Day.24 제로웨이스트 요리 – 남은 재료 200% 활용하기 (6) 2025.08.19 Day.23 제로웨이스트 실천과 건강 – 환경을 지키며 몸도 지키는 생활습관 (4) 2025.08.18 Day.22 플라스틱 프리(제로웨이스트 실천템) 장보기 – 대형마트 vs 전통시장 비교 리얼 후기 (4) 2025.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