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Day.9 제로웨이스트 실천자가 전하는 현실 조언 7가지 – 나 혼자만의 싸움이 아니라는 위로ESG, 제로웨이스트, 환경 2025. 8. 4. 22:04
🟡 혼자 실천하는 삶은 쉽지 않았다
제로웨이스트를 시작하고 나서 나는 정말 많이 흔들렸다.
혼자 장바구니를 들고 마트를 가고,
혼자 텀블러를 꺼내고,
혼자 포장 없는 제품을 찾으며 외롭게 고군분투했다.가끔은 이렇게 생각했다.
“나만 유난 떠는 거 아냐?”
그러다 어느 날, 나처럼 제로웨이스트를 실천하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게 됐다.
SNS, 블로그, 지역 커뮤니티에서 하나둘 찾아낸 실천자들의 현실적인 조언은
내게 위로가 되었고, 다시 시작할 수 있는 힘이 되었다.오늘 이 글에서는 나와 같은 고민을 겪었던 사람들의 현실적인 조언 7가지를 정리해 본다.
그 조언들이 누군가에게 실천의 동력이 되기를 바란다.
우리는 혼자가 아니다.
🔵 조언 ①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다 – 계속 시도하면 된다”
한 실천자는 이렇게 말했다.
“제로웨이스트는 ‘제로’가 아니라 ‘레스(less)’에 가깝다고 생각해요. 덜 버리면 이미 성공이에요.”
나도 그 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완벽하게 쓰레기를 만들지 않는 건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하지만 내가 어제보다 덜 버렸다면,
그건 이미 충분히 의미 있는 진전이다.완벽주의보다 지속가능성이 중요하다.
🔵 조언 ② “텀블러, 장바구니는 '늘 챙기는 루틴'으로 만들라”
실천자들이 공통적으로 강조한 건 ‘자동화된 습관’ 만들기였다.
출근 가방을 쌀 때 핸드폰, 지갑, 텀블러, 장바구니를 기본 패키지로 묶는 것.
일일이 ‘챙겨야지’ 생각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손에 들려야 한다.나도 이 조언을 적용한 뒤로 훨씬 실천이 쉬워졌다.
의식적으로 챙기지 않아도, 생활에 녹아들게 하는 것이 핵심이다.
🔵 조언 ③ “주변을 설득하려 하지 말고, 그냥 보여줘라”
가족이나 친구들과 갈등을 겪었다는 실천자도 많았다.
친환경 세제를 쓰고 싶어도 가족은 일반 제품을 고집하고,
포장 없는 제품을 고르면 “왜 그런 거 사?”라는 질문이 돌아온다.이럴 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말보다 행동이다.
“잔소리보다 습관이 전염성이 더 크더라고요.”
실제로 실천을 지속하다 보니 가족들도 하나둘 변하기 시작했다는 경험담이 많았다.
변화는 말이 아니라 반복되는 행동에서 온다.
🔵 조언 ④ “실패를 너무 중요하게 여기지 마라”
실천자 A는 이렇게 말했다.
“배달 음식 시켰다고 너무 좌절하지 마세요. 텀블러 안 챙겼다고 포기하지 마세요. 다음에 잘하면 됩니다.”
나도 공감했다.
한 번 실패했다고 해서 전체 실천이 무의미해지는 건 아니다.
중요한 건 ‘그다음에 어떻게 다시 이어가는가’다.
실천은 단절이 아니라 연속이고, 실패는 그 속의 일부일 뿐이다.
🔵 조언 ⑤ “시작은 작고 구체적으로 – 딱 하나만 정하라”
처음부터 모든 걸 바꾸려 들면 지친다.
그래서 실천자들은 ‘하나만 정해서 그걸 꾸준히 하라’고 조언한다.나도 제일 처음 텀블러 하나로 시작했다.
하나에 익숙해지면 자연스럽게 두 번째가 따라온다.
큰 그림보다 중요한 건 첫걸음을 구체적으로 만드는 것이다.
🔵 조언 ⑥ “환경보다 나를 먼저 돌봐야 실천이 지속된다”
이 조언은 의외였지만, 가장 마음에 와닿았다.
“몸이 힘들고 마음이 지치면, 환경 생각할 여유가 없어요. 자기 관리도 제로웨이스트입니다.”
실천을 지속하려면 에너지가 필요하다.
내가 너무 지쳐 있다면
텀블러 챙기기도, 쓰레기 분리수거도 다 귀찮아진다.그럴 땐 쉬어도 된다.
환경을 위하는 마음도 중요하지만 나를 돌보는 것도 실천의 일부다.
🔵 조언 ⑦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과 연결돼라”
혼자 하면 너무 외롭고, 금방 지친다.
그래서 실천자들은 온라인 커뮤니티, SNS, 로컬 모임 등을 추천한다.나도 인스타그램에서 ‘제로웨이스트’ 해시태그를 통해
다른 사람들의 실천을 보고 자극을 받곤 한다.
가끔은 댓글 하나, 메시지 하나가
‘아, 나만 이러는 게 아니구나’라는 안도감을 주기도 한다.
🟢 내가 적용해 본 조언 BEST 3
- 하나만 정해서 실천하기 → 텀블러 하나부터 성공
- 실패 기록하기 → 실천 패턴을 파악할 수 있음
- SNS로 연결감 유지하기 → 자극 + 위로 + 팁 모두 얻을 수 있음
이 3가지는 지금도 내가 계속 이어가고 있는 중요한 루틴이다.
🟡 지속 가능한 실천에는 혼자만의 힘이 필요 없다
제로웨이스트는 개인 실천이지만, 개인만의 문제는 아니다.
우리는 같은 고민을 하고, 같은 실패를 겪고, 같은 의지를 다지고 있는 사람들 속에 있다.혼자라고 느껴질 때,
지쳤을 때,
이런 조언들이 내가 걸어온 길을 돌아보게 하고, 다시 앞으로 나아가게 만들어준다.잘하는 것보다 계속하는 게 더 중요하다.
오늘도 누군가는 실패하고, 누군가는 실천하고,
그리고 우리는 함께 이 길 위에 서 있다.'ESG, 제로웨이스트,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 Day10. 제로웨이스트 정책·정부지원 총정리 (2025년 기준) – 환경을 위한 실천, 국가가 돕고 있는 것들 (4) 2025.08.05 🟢 Day.8 제로웨이스트 실패담 – 망한 실천도 기록해보기 (5) 2025.08.04 🟢 Day.7 제로웨이스트 식생활 도전기 – 장보기부터 조리까지 포장 없는 한 끼 만들기 (4) 2025.08.03 🟢 Day.6 텀블러 하나로 줄인 일회용컵 수 계산기 실험 – 내가 직접 기록한 30일 (2) 2025.08.02 🟢 Day.5 욕실 제로웨이스트 루틴 – 고체 샴푸부터 천연 수세미까지, 플라스틱 없는 욕실 만들기 (5) 2025.08.02 🟢 Day.4 리필숍 없이 제로웨이스트 실천하는 법(어디서나 가능한 방법!) (0) 2025.07.31 🟢 Day.3 플라스틱 없이 살아보기 – 대체 가능한 생활용품 10가지 (제로웨이스트 실천템 가이드) (2) 2025.07.31 🟢 Day.2 제로웨이스트를 시작하게 된 계기와 나의 소비 습관 반성기 (4) 2025.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