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플라스틱 없이 살아보기 – 대체 가능한 생활용품 10가지 (제로웨이스트 실천템 가이드)ESG, 제로웨이스트, 환경 2025. 7. 31. 07:05
🟡 ‘습관’이 된 플라스틱, ‘선택’으로 바꿀 수 있다
나는 한동안 플라스틱이 얼마나 내 삶에 깊게 자리 잡고 있었는지 몰랐다.
화장실, 주방, 책상, 가방 속까지 플라스틱은 마치 공기처럼 존재했다.그걸 깨달은 건, 제로웨이스트 도전을 시작하고 나서였다.
무언가를 살 때마다, 사용할 때마다, 심지어 버릴 때도 플라스틱은 내 손안에 있었다.그때부터 나는 일상 속에서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물건을 하나씩 찾아보기로 했다.
완벽할 순 없었지만, 바꾸려고 노력한 10가지 아이템은 내 삶의 소비 기준을 완전히 바꿔놓았다.지금부터 소개하는 제품들은 실제로 내가 사용하고 있는 것들이다.
누구나 쉽게 도전할 수 있고, 아주 작게나마 환경을 덜 해치는 삶을 만들어주는 실천템들이다.
🔵 플라스틱 없이 살아보기 – 대체 가능한 생활용품 10가지
① 스테인리스 빨대 + 실리콘 브러시 세트
나는 예전엔 카페에서 아무렇지 않게 일회용 빨대를 사용했다.
이젠 스테인리스 빨대를 들고 다니고, 전용 브러시로 세척해서 계속 쓴다.
처음엔 번거로웠지만, 어느 순간 내 텀블러와 세트처럼 항상 챙기게 됐다.② 고체 샴푸 & 고체 바디워시
플라스틱 용기에 담긴 액체 샴푸를 고체 샴푸바로 바꿨다.
처음엔 거품이 잘 안 나는 줄 알았는데, 의외로 풍성한 거품이 났다.
1개로 두 달은 넘게 쓰고, 포장도 종이로만 되어 있어 쓰레기 걱정이 없다.③ 비누망 & 천연비누
예전엔 바디워시를 샀지만, 지금은 천연비누 + 비누망 조합을 쓴다.
비누망은 거품을 잘 내주고, 물빠짐도 좋아서 위생적으로 쓸 수 있다.
천연비누는 향도 좋고, 종류도 다양해서 고르는 재미도 있다.④ 천연 수세미 (해초·황마 소재)
부엌 수세미도 플라스틱 재질이 많다. 나는 천연 수세미로 바꿨다.
초반에는 금방 닳을까 걱정했는데, 생각보다 오래 쓰고
사용 후 자연분해까지 돼서 완전히 쓰레기 없는 마무리가 가능했다.⑤ 유리 용기 + 실리콘 뚜껑
냉장고 안에 있던 플라스틱 반찬통들을 하나씩 유리로 바꿨다.
뚜껑은 실리콘이라 냄새도 덜 배고, 전자레인지에 돌려도 안전하다.
보기에도 깔끔해서 정리도 쉬워졌다.⑥ 리필용 치약 & 대나무 칫솔
일반 칫솔 대신 대나무 칫솔을 쓰고 있고,
치약은 알루미늄 튜브 제품이나 고체 치약을 사용 중이다.
요즘엔 분말 치약이나 리필 치약도 나와 있어서 선택지가 넓어졌다.⑦ 장바구니 + 다회용 주머니 (망사백)
나는 슈퍼 갈 때 장바구니 외에 과일이나 채소를 담는 망사 주머니를 따로 챙긴다.
예전에는 비닐로 한 개씩 담았는데, 이제는 이걸로 비닐 사용 90% 이상 줄였다.⑧ 밀랍랩 (Beeswax Wrap)
음식 보관할 때 랩을 쓰곤 했는데, 이제는 밀랍랩을 사용한다.
천에 천연 밀랍을 코팅한 제품인데,
부드럽고 접착력이 좋아서 음식 포장이나 덮개로도 충분하다.
세척도 가능해서 반복 사용이 된다.⑨ 종이 포장 생리대 & 생리컵
민감한 주제지만, 나는 제로웨이스트를 하며 일회용 생리대 대신 생리컵과 유기농 생리대를 선택하게 됐다.
처음엔 불편했지만, 익숙해지니 오히려 위생적이고 쓰레기도 확실히 줄었다.⑩ 친환경 세제 (리필형 또는 고체)
세탁세제나 주방세제도 리필 가능한 제품이나 고체 세제로 바꿨다.
소포장 플라스틱이 줄어들고, 리필 제품은 보통 재활용 용기로 구성되어 있어 마음이 한결 편하다.
🟢 직접 써보니 느낀 장점 5가지
- 쓰레기가 진짜 줄었다.
- 주 2회 내놓던 재활용 쓰레기가 이제는 한 번만 내도 충분하다.
- 공간이 깔끔해졌다.
- 과대 포장이 사라지니 주방이나 욕실이 정리된 느낌이다.
- 물건을 더 오래 쓰게 된다.
- 재사용 전용 제품은 품질도 좋고, 애정이 생긴다.
- 생활 습관이 바뀌었다.
- 사기 전에 한 번 더 생각하고, 소비를 덜 하게 된다.
- 마음이 덜 불편하다.
- 뭔가 좋은 일 했다는 느낌이 작게나마 계속 든다.
🔴 아직 어려운 점도 있다
물론 모든 걸 완벽히 바꾸진 못했다.
제품 선택의 폭이 좁고, 가격도 더 비싼 경우가 많았다.
특히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과 함께 실천하기엔 합의와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하지만 하나씩 바꾸다 보면 나도 모르게 기준이 생기고,
‘이건 왜 아직 플라스틱일까?’라는 질문을 던지는 사람이 된다.
그것만으로도 변화는 시작됐다.
🟡 지금 바꾸지 않으면, 영원히 바뀌지 않는다
플라스틱 없는 삶은 불가능에 가까울 수도 있다.
하지만 플라스틱을 줄일 수 있는 삶은 충분히 가능하다.나는 완벽하게 바꿔야 한다는 부담 대신, 할 수 있는 만큼 바꾸자는 마음으로 시작했다.
그리고 그 마음 하나가 내 생활 방식을 조금씩 바꿔놓았다.오늘도 나는 유리 용기에 반찬을 담고, 텀블러를 챙기며 집을 나선다.
플라스틱을 안 쓰는 하루는 어려워도, 덜 쓰는 하루는 누구나 만들 수 있다.'ESG, 제로웨이스트,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리필숍 없이 제로웨이스트 실천하는 방법(어디서나 가능한 방법!) (0) 2025.07.31 🟢 제로웨이스트를 시작하게 된 계기와 나의 소비 습관 반성기 (4) 2025.07.30 🟢 제로웨이스트 30일 실천기와 일상 속 쓰레기 줄이기 가이드 (2025년 버전) (2) 2025.07.30 - 쓰레기가 진짜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