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1. 갑상선 기능 이상: 에너지 시스템의 경고등
2. 부신: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내분비의 중추

 

 

 

갑상선과 부신 – 대사와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인체의 핵심 축

 

 

 

우리가 일상 속에서 겪는 피로, 체중 변화, 기분 저하, 집중력 저하 등은 단순한 생활습관 문제가 아닐 수 있다. 그 배후에는 인체 내분비계의 중심인 갑상선과 부신의 기능 이상이 자리 잡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갑상선은 기초 대사를 조절하고, 부신은 스트레스 상황에 빠르게 대응하는 시스템이다. 이 두 기관은 서로 독립적이면서도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우리가 에너지를 쓰고 회복하는 모든 리듬을 조율한다. 이번 글에서는 갑상선 기능저하증과 갑상선종, 그리고 부신피질과 부신수질의 주요 호르몬 작용을 과학적이면서도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 본다.


 

 

 

1. 갑상선 기능 이상: 에너지 시스템의 경고등

1-1. 갑상선기능저하증(Hypothyroidism): 대사 저하의 조용한 위협

갑상선호르몬은 우리 몸의 '기초 대사량'을 설정하는 조절자다. 이 호르몬이 부족해지면 마치 컴퓨터의 전력 설정이 '절전 모드'로 바뀐 것처럼 전반적인 신체 활동이 느려진다.

주요 원인

  • 1차성 원인: 갑상선 자체의 기능 저하
  • 2차성 원인: 시상하부 또는 뇌하수체 기능 이상
  • 외적 요인: 요오드 결핍 (특히 해안 지역 외부 지역에서 흔함)

주요 증상

  • 쉽게 추위를 탐
  • 체중 증가, 피로, 집중력 저하
  • 느린 맥박, 변비
  • 피부 건조 및 점액부종(myxedema)

성장기 영향

태아기나 유아기에는 크레틴병(Cretinism)이라는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성장 발달뿐 아니라 뇌 발달 지연까지 동반되며 조기 진단이 치료의 핵심이다.


1-2. 갑상선종(Goiter): 커졌지만 강하지 않은 갑상선

갑상선종은 기능 이상 여부와 무관하게 갑상선이 눈에 띄게 커진 상태를 말한다.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① 갑상선기능저하증에 의한 보상성 비대

  • 호르몬이 부족할 때, 뇌하수체가 TSH(갑상선 자극 호르몬)를 과다하게 분비
  • TSH 자극이 지속되면, 갑상선은 보상적으로 커짐
  • 주로 요오드 결핍 지역에서 자주 발생

② 자가면역성 갑상선항진증

  • 그레이브스병에서는 TSH 수용체를 자극하는 자가항체가 존재
  • 이로 인해 TSH 없이도 갑상선이 과잉 자극되어 비대 및 기능항진 상태

2. 부신: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내분비의 중추

2-1. 구조적 이해

부신은 신장 위에 붙어 있는 한 쌍의 내분비기관으로 겉은 피질(cortex), 속은 수질(medulla)로 구분된다. 두 부분은 전혀 다른 호르몬을 생성하며 각각 지속적 조절즉각적 대응을 담당한다.


2-2. 부신피질: 세 구역, 세 호르몬

① 사구대(zona glomerulosa) – 알도스테론 (미네랄코르티코이드)

  • 주요 기능: 신장에서 나트륨 재흡수, 칼륨 배출 → 혈압과 수분량 조절
  • 자극 요인: 레닌-안지오텐신계, 혈중 칼륨 농도

② 속상대(zona fasciculata) – 코르티솔 (글루코코르티코이드)

  • 주요 기능
    • 혈당 상승
    • 면역 억제 및 항염 작용
    • 장기적 스트레스 대응
  • 조절 축: 시상하부(CRH) → 뇌하수체(ACTH) → 부신피질

③ 망상대(zona reticularis) – 안드로겐(DHEA 등)

  • 주요 기능: 사춘기 전 성기능 발달, 여성에서 남성호르몬 보조 역할

2-3. 부신수질: 스트레스 순간의 생존 신호

부신수질은 신경조직과 매우 유사하며 교감신경의 ‘연장선’처럼 작용한다. 스트레스 상황에서 즉시 다음 두 가지 카테콜아민을 분비한다:

호르몬주요 기능
에피네프린(Adrenaline) 심박수 증가, 기관지 확장, 혈당 상승
노르에피네프린(Noradrenaline) 말초 혈관 수축 → 혈압 상승
 

이러한 호르몬들은 '투쟁-도피 반응(fight or flight)'을 유발하여 즉각적인 생존 전략을 유도한다.

 

갑상선과 부신은 단순한 내분비 기관이 아니다.

  • 갑상선은 우리 몸의 열, 에너지, 성장의 설정값을 조절하고,
  • 부신은 생존과 직결되는 스트레스 반응과 전해질 균형을 관리한다.

이 두 축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조화를 이루지 못하면 단순한 피로부터 심각한 내분비 질환까지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들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건강관리의 첫걸음이며 질병의 조기 발견과 치료 전략 수립에 매우 중요하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